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cs09g 블로그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cs09g 블로그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61)
    • Git (10)
    • Open source (2)
    • 프론트엔드 (16)
    • Javascript (15)
    • Mozilla (0)
    • 개발환경 (13)
      • Windows (4)
      • Linux (5)
      • Mac (3)
    • 생각 (3)
    • 여행 (1)
  • 방명록

개발환경/Windows (4)
이 페이지의 스크립트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지식인에 굉장히 자주 올라오는 질문인데, 해결 방법을 매번 설명하기 힘들어 따로 정리한 내용이다. 위 오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자주 발생한다. 원인은 데스크탑에 설치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호환하지 않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근본적으로 오류 팝업이 뜨지 않게 하려면 설치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호환되도록 수정해야하지만, 프로그램의 코드를 수정한다는 것은 해당 프로그램의 개발자만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프로그램은 고칠 수 없으니, 사용자의 환경을 바꾸는 것으로 오류를 피할 수 있다. 다음은 오류를 피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다. 1. 기본 브라우저를 바꾸자.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개발한 마이크로소프트는 ..

개발환경/Windows 2022. 3. 31. 23:25
BOM(Byte order mark) on Windows server 2008 notepad

Windows Server 2008의 기본 메모장에서 UTF-8 형식으로 저장하면 파일 시작에 BOM이 붙는다. UTF-8 이라는 인코딩 형식만 신경썼고 눈에 보이는 내용만 올바르면 괜찮다고 생각했는데, 바이트가 미세하게 달라 파일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상황을 경험하고나니 파일 수정 시에 바이트 단위로 검사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EditPlus로 실행 후 저장하면 괜찮다(without BOM을 제공하는 에디터라면 동일). 하지만 기본 메모장은 BOM을 제거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지 않는다.

개발환경/Windows 2019. 10. 31. 15:14
사용중인 포트 확인

개발을 하다보면 의도치 않게 프로세스가 제대로 종료되지 않아 포트가 사용중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생긴다. (톰캣을 중지하다가 중지되기전에 재시작을 한다거나...) 그런 경우 Windows에 숨겨져있는 "리소스 모니터"를 확인하면 된다.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시스템도구 - 리소스 모니터 네트워크 탭의 제일 아래 '수신 대기 포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개발환경/Windows 2018. 1. 14. 12:25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링크
  • Firefox
  • Mozilla Hacks Korea
TAG
  • GIT
  • 크롬
  • testing
  • getter
  • Mac
  • fetch
  • setter
  • 블랙스크린
  • git-tag
  • 사이트성능측정
  • Android
  • bouncscroll
  • react
  • ios
  • readStream
  • git-checkout
  • ubuntu
  • Windows
  • no_fcp
  • abortcontroller
  • JavaScript
  • nodejs
  • writeStream
  • Safari
  • chrome
  • event
  • 리소스모니터
  • Karma
  • csv-parser
  • bigsur
more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