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성능 측정을 위한 도구는 여러 가지가 있다. 대표적으로 webpagetest.org, 크롬의 개발자 도구에서 제공하고 있는 Lighthouse(구 Audits) 패널, sitespeed.io 등 사이트를 꼽을 수 있다. 사이트의 렌더링 성능 측정을 위해 위에서 나열한 도구들을 사용해보았다. 1. webpagetest.org 성능을 측정해주는 웹 서비스로써, 성능 테스트를 하길 원하는 사이트 URL을 입력하고 테스트 지역 / 브라우저 환경 등을 선택하면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이미 서비스 중이며 성능 개선 작업이 예정된 경우에 before 성능 기록 용도로 활용하면 좋다. 하지만 webpagetest에서 접근할 수 없는 사이트(공개되지 않은 사이트: 로컬/개발 환경 등)에 대해서는 활용이 불가하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70tQJ/btqEoT3Rd2s/l5mWPVR4VVXl7Ok5ULkFX0/img.png)
Launchpad - Automator 실행 - Quick Action 선택 사이드 메뉴의 Library - Utilities - Run AppleScript 선택 코드는 아래를 참조. on run {input, parameters} tell application "iTerm" create window with default profile activate end tell return input end run 작성 후 저장한다. 알아 볼 수 있는 타이틀을 설정해주자. 예) Start iTerm 저장한 후, System Preferences... - Keyboard 로 이동 사이드 메뉴의 Services - Shortcuts 에서 아래로 스크롤하면 추가한 액션이 위치해있다. Add Shortcut을 클릭하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Nakkp/btqDY1BEQ4J/FeMPMcKSjCf0jigKokrdnK/img.png)
"iOS 에서는 저런데, AOS 에서는 이래요" 위와 같은 이메일을 보고나서 AOS가 대체 뭔지, 설마 Android Operating System을 말하는건가 궁금해 검색해 보았다. 그렇다. 한국에서만 잘못 줄여쓰고 있는 약어인 것이다. iOS는 iOS이고, Android는 Android이다. Android OS가 아니다. iOS가 과거에 iPhone OS를 의미했으니, 굳이 비슷한 방식으로 갈거였으면 GOS(Galaxy OS) 정도가 비슷한 수준의 용어로 보인다. AOS를 사용하고 싶다면 iOS는 iOSOS라고해야하지 않을까? iOSOS를 줄여서 iOS라고 했다고 이야기하면 다시 할 말이 없어진다. 해외 커뮤니티에서 용어 사용에 주의하자. 이왕이면 국내 커뮤니티에서도 사용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 Total